레벨 일본어능력시험취득점 | 項目 |
---|
최고급 JLPTN1 80%
| 회화:일상적인 주제의 토론에 참가하여, 다른 의견과 관련시키면서 자신의 의견을 펼칠 수가 있다 표기:약 2000자의 한자를 읽고 쓸 수가 있다 듣기:강의나 의론 등을 거의 아무 문제도 없이 이해할 수가 있다 독해:필자의 주장이나 시점이 나와 있는 현재 문제가 되어 있는 기사나, 현재문학을 통해서 내용을 파악할 수가 있다 작문:중요점을 강조하거나 독자에게 호소하거나, 또 관련사항을 소개하면서 고급적인 문장을 쓸 수가 있다 |
고급Ⅱ JLPTN1 60% | 회화:유창하게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취할 수 있다. 일반적인 주제를 지닌 토론에 참가하여 자신의 의견을 주장할 수가 있다 표기:약 2000자의 한자를 읽을 수가 있다 듣기:내용적으로도, 언어적으로도 복잡한 화제의 요점을 파악할 수가 있다 독해:신문잡지의 기사, 소설 등, 다양한 분야의 약 2000자로 이루어져 있는 문장을 읽고 내용을 파악할 수가 있다 작문:복잡한 문제를 포함한 주제에 대해서도 잘 정리해서 읽기 쉬운 문장을 쓸 수가 있다 |
고급Ⅰ JLPTN2 80% | 회화:다양한 대우표현이나 그 상황에 걸맞은 언어를 선택하면서 의사소통을 취할 수 있다 표기:약 1500자의 한자를 읽고 쓸 수가 있다 듣기:뉴스나 짧은 정보 프로그램을 듣고, 필요한 정보를 알아들 수가 있다 독해:신문잡지의 기사, 소설 등, 다양한 분야의 약 1000자의 문장을 읽고 내용을 파악할 수가 있다 작문:폭넓은 분야를 지닌 주제에 대하여, 독자를 의식하면서 보다 이해하기 쉽고 설득력이 있는 문장을 쓸 수가 있다 |
중고급 JLPTN2 60% | 회화:다양한 사정의 의래, 교섭 등의 장면에서도 의사소통의 기능을 다할 수가 있다 표기:약 1000자의 한자를 읽고 쓸 수가 있다 듣기:일본사회에 대해 폭넓은 내용을 듣고, 내용을 파악할 수가 있다 독해:논리전개가 비교적 명확한 약 1000자의 문장을 읽고 내용을 이해할 수가 있다 작문:자신이 관심을 가진 분야에 관한 주제라면, 독자를 의식하면서 보다 이해하기 쉽고 설득력이 있는 문장을 쓸 수가 있다 |
중급Ⅱ JLPTN3 80% | 회화:권유, 거절, 조언, 불평 등, 적절한 이유나 머릿말을 사용하여, 의사소통의 기능을 다할 수가 있다 표기:약 500자의 한자를 읽고 쓸 수가 있다 듣기:뉴스 등에서 화제가 되어 있는 현재 일본사회의 일면을 나타내는 테마를 듣고, 내용을 이해할 수가 있다 독해:일반적인 사물에 관한 약 800자의 문장을 읽고 내용을 파악할 수가 있다 작문:다양한 디스코스 마커(문장구조를 나타내는 말)를 사용하여, 이해하기 쉽고 자세한 문장을 쓸 수가 있다 |
중급Ⅰ JLPTN3 60% | 회화:자신에게 있어서 화제가 일상적이라면 잘 정리된 이야기를 할 수 있다 표기:약 300자의 한자를 읽고 쓸 수가 있다 듣기:현재 일본사정을 나태내는 테마를 듣고, 내용을 이해할 수가 있다 독해:일반적인 내용에 대하여, 간단한 약 600자의 문장을 읽고 내용을 이해할 수가 있다 작문:기본적인 접속사를 사용하여, 전체구성을 생각하면서 자신의 의견을 쓸 수가 있다 |
초중급 JLPTN4 80% | 회화:일상생활에서 빠뜨릴 수가 없는 기본적인 회화를 제대로 대우표현을 사용하면서 할 수가 있다 표기:약 200자의 한자를 이해할 수가 있다 듣기:일상생활의 장면이라면 거의 대화내용을 이해할 수가 있다. 또 어느정도 긴 메시지라도 그 요점을 파악할 수가 있다 독해:일본에 관한 것을 주제로 삼아, 한자를 포함한 약 450자의 문장을 읽고 내용을 이해할 수가 있다 작문:비교하거나 예를 들면서 자신의 의견을 쓸 수 있다 |
초급Ⅱ JLPTN4 60% | 회화:일상생활에서 빠뜨릴 수 없는 기본적인 의사소통을 더욱 적절한 표현을 사용할 수 있다 표기:약 120자의 한자를 이해할 수가 있다 듣기:일상생활에서 맞닥뜨리는 비교적 일반적인 내용이라면. 대화내용을 거의 이해할 수가 있다 독해:일상생활의 장면이나 일본사물을 화제로 삼한 약 450자의 문장을 읽고 내용을 이해할 수가 있다 작문:복문을 사용하여, 일기를 쓰거나 소감을 짧은 문장으로 표현할 수가 있다 ) |
초급Ⅰ JLPTN5 60% | 회화:자신에 관한 질문에 대해 대답할 수가 있다. 일상생활에서도 한정된 상황이라면, 기본적인 회화를 할 수가 있다 표기:히라가나, 카타카나를 정확히 쓸 수가 있다. 또 약 60자의 한자를 아해할 수가 있다 듣기:일상생활의 장면에서 상대방이 천천히 이야기해 주면, 질문 등의 짧은 발언을 알아들 수 있다 독해:일상생활의 장면을 주제로 삼아, 약 250자의 문장을 읽고 내용을 이해할 수가 있다 작문:간단한 표현이나 문장을 스스로 정확히 쓸 수가 있다 |